에디's 워크스페이스
[질문] AWS Storage Gateway가 뭘까? | 마이그레이션 본문
AWS Storage Gateway의 목적은 온프레미스 환경과 AWS 클라우드 간의 데이터를 원활하게 이동, 저장,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. 이를 통해 기업은 자신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백업, 아카이빙, 복구하고, 클라우드의 스토리지 솔루션을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며, 데이터 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. Storage Gateway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을 제공하며, 각 유형은 특정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되었고, 다른 프로토콜 및 AWS 서비스와 연동한다.
### 1. 파일 게이트웨이 (File Gateway)
- **사용 목적**: 온프레미스 애플리케이션에서 AWS 클라우드로 파일 기반 데이터를 객체로 저장하고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. 이를 통해 파일 공유, 데이터 백업 및 아카이빙 작업을 간소화한다.
- **사용 프로토콜**: NFS (Network File System) 또는 SMB (Server Message Block)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- **AWS 서비스 연동**: 파일은 Amazon S3 버킷에 저장되며, 사용자는 S3의 기능을 이용하여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. + EC2에서도 액세스 가능.
- 종류 : S3 파일 게이트웨이 (S3에 파일을 객체로 저장) (NFS, SMB 사용 가능), FSx 파일 게이트웨이 (윈도우즈 파일 서버용 FSx에서 빠르에 온프렘에 액세스 가능) (SMB 사용)
프로토콜 참고!
NFS: 직접 액세스하여 로컬처럼 느끼게 함. 지속적이고 암호화 지원X.
FTP: 파일 전송이 목적. 일시적이고, 최신버전은 암호화 지원.
### 2. 볼륨 게이트웨이 (Volume Gateway)
- **사용 목적**: 온프레미스 애플리케이션에 블록 스토리지를 제공한다. 이는 주로 데이터 백업, 재해 복구 솔루션 구현에 사용된다.
- **유형 및 프로토콜**: iSCSI (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)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, 저장 볼륨 (Stored Volumes)과 캐시 볼륨 (Cached Volumes) 두 가지 유형이 있다.
- **AWS 서비스 연동**: 저장 볼륨은 데이터를 로컬로 저장하고, 선택적으로 AWS EBS (Elastic Block Store) 스냅샷으로 백업한다. 캐시 볼륨은 주요 데이터를 로컬로 캐싱하며, 전체 데이터 세트는 Amazon S3에 저장된다.
### 3. 테이프 게이트웨이 (Tape Gateway)
- **사용 목적**: 온프레미스 백업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가상 테이프를 AWS 클라우드에 저장하고, 비용 효율적인 장기 아카이빙 솔루션을 구현한다.
- **사용 프로토콜**: iSCSI 기반 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(VTL)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.
- **AWS 서비스 연동**: 가상 테이프는 Amazon S3에 저장되며, 장기 보관을 위해 Amazon S3 Glacier 또는 S3 Glacier Deep Archive로 이동할 수 있다.
Storage Gateway의 각 유형은 특정한 데이터 스토리지 및 관리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설계되었다. 기업은 자신의 요구에 가장 적합한 게이트웨이 유형을 선택하여, 온프레미스 환경과 AWS 클라우드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이동 및 통합을 실현할 수 있다.
'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치 전략 (0) | 2024.04.02 |
---|---|
[질문] AWS DataSync와 Transfer Gateway 차이점은 뭘까? | 마이그레이션 도구 (0) | 2024.03.31 |
[추가질문] SCSI 명령은 뭘까? | 파일 전송 프로토콜 중 하나인, iSCSI 프로토콜 (0) | 2024.03.31 |
[추가질문] 왜 블록 스토리지가 있는데 굳이 볼륨 스토리지를 하나의 형태로 따로 만든걸까? | 스토리지 유형 (0) | 2024.03.31 |
[질문] 파일 전송 프로토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? 그리고 각각이 생겨난 이유는? | 마이그레이션 도구 파악 (0) | 2024.03.27 |